‘㈜오일러로버틱스(대표 김봉성)’가 ‘2024 로보월드’에서 팔레타이징 및 디팔레타이징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였다고 18일 밝혔다.
업체 측 관계자는 "오일러로보틱스는 3D카메라와 인공지능, 로봇을 활용한 팔레타이징 및 디팔레타이징 자동화 솔루션(RBS, Random Box Stack)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형태가 일률적이지 않은 비정형화된 상자를 효율적으로 쌓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오일러로보틱스의 RBS 프로그램은 로봇이 다양한 크기의 박스를 팔레타이징하거나 디팔레타이징 할 수 있는데, 시스템에 탑재된 3D 카메라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3D카메라가 물체를 인식하고 AI기술을 활용해 박스의 크기와 사이즈를 확인한 후 RBS 프로그램 안에서 공간을 계산해 적재를 진행한다."며 "오일러로보틱스에 탑재된 TOF 방식의 3D카메라의 가장 큰 장점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3D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은 알고리즘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된 뒤에 로봇을 통해 작업이 진행되는데, 상자의 가로와 세로를 바꿔가며 최적의 공간을 찾는 알고리즘이 적용되었으며, 카메라와 로봇, PLC 간의 빠르고 간결한 통신을 통해 딜레이 없이 로봇에게 결과를 전달하는 알고리즘 수행 속도 최적화 기술도 적용되었다. 또한 LED 조명이 탑재되어 있는데, 눈에 보이지 않는 850nm의 적외선을 방사한 후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제품을 탐지하기 때문에 외부 빛에 대한 내성도 매우 뛰어나 정확도가 매우 높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곳의 팔레타이징 자동화 시스템은 1kg의 상자부터 로봇 기술의 한계인 최대 2톤 중량의 상자까지도 작업이 가능하며, 물류현장의 상황에 맞게 다양한 로봇을 적용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벨트 내에서 이동하는 상자를 정확히 디텍팅하고 분석하기 때문에 더욱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다."며 "기술을 더욱 고도화하여 QR코드 인식을 통해 물류센터에서 배송 지역별로 제품을 분산하는 시스템도 개발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 출처 : 시선뉴스
‘㈜오일러로버틱스(대표 김봉성)’가 ‘2024 로보월드’에서 팔레타이징 및 디팔레타이징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였다고 18일 밝혔다.
업체 측 관계자는 "오일러로보틱스는 3D카메라와 인공지능, 로봇을 활용한 팔레타이징 및 디팔레타이징 자동화 솔루션(RBS, Random Box Stack)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형태가 일률적이지 않은 비정형화된 상자를 효율적으로 쌓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오일러로보틱스의 RBS 프로그램은 로봇이 다양한 크기의 박스를 팔레타이징하거나 디팔레타이징 할 수 있는데, 시스템에 탑재된 3D 카메라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3D카메라가 물체를 인식하고 AI기술을 활용해 박스의 크기와 사이즈를 확인한 후 RBS 프로그램 안에서 공간을 계산해 적재를 진행한다."며 "오일러로보틱스에 탑재된 TOF 방식의 3D카메라의 가장 큰 장점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3D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은 알고리즘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된 뒤에 로봇을 통해 작업이 진행되는데, 상자의 가로와 세로를 바꿔가며 최적의 공간을 찾는 알고리즘이 적용되었으며, 카메라와 로봇, PLC 간의 빠르고 간결한 통신을 통해 딜레이 없이 로봇에게 결과를 전달하는 알고리즘 수행 속도 최적화 기술도 적용되었다. 또한 LED 조명이 탑재되어 있는데, 눈에 보이지 않는 850nm의 적외선을 방사한 후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제품을 탐지하기 때문에 외부 빛에 대한 내성도 매우 뛰어나 정확도가 매우 높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곳의 팔레타이징 자동화 시스템은 1kg의 상자부터 로봇 기술의 한계인 최대 2톤 중량의 상자까지도 작업이 가능하며, 물류현장의 상황에 맞게 다양한 로봇을 적용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벨트 내에서 이동하는 상자를 정확히 디텍팅하고 분석하기 때문에 더욱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다."며 "기술을 더욱 고도화하여 QR코드 인식을 통해 물류센터에서 배송 지역별로 제품을 분산하는 시스템도 개발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 출처 : 시선뉴스